2022. 10. 7. 04:23ㆍFE/JavaScript
스코프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달느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let x = 'global';
function foo(){
let x = 'local';
console.log(x);
}
foo();
console.log(x);
JS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어떤 변수를 참조할지 결정한다.
※ 렉시컬 환경
코드가 어디서 실행되고 주변에 어떤 코드가 있는지 알 수 있다.
코드 문맥은 렉시컬 환경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구현한 것이 실행 컨텍스트다.
모든 코드는 실행 컨텐스트에서 평가되고 실행된다.
식별자는 어떤 값을 구별할 수 있어야하므로 유일해 식별자는 중복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스코프를 통해 유효 범위를 지정하여 스코프 내에서만 식별자가 중복되지 않도록 사용할 수 있다.
※ var 키워드 중복 선언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재할당되는 부작용으로 가급적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스코프 종류
전역 스코프
코드 가장 바깥 영역
전역 변수는 어디서든지 참조할 수 있다.
지역 스코프
코드 블록 영역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하다.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따라 스코프가 결정된다.
스코프 체인
함수는 전역 또는 다른 함수 내부에서 정의될 수 있는 만큼 함수 지역 스코프도 중첩 될 수 있다.
스코프가 계층적 구조를 갖게 된다.
이 때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를 중첩 함수의 상위 스코프가 될 것이다.
모든 지역 스코프의 최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다.
스코프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것을 스코프 체인이라 볼 수 있다.
스코프 체인은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을 단방향으로 연결한 것이다.
스코프 체인은 물리적인 실체로 존재하는데 JS엔진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렉시컬 환경을 생성한다.
변수 선언이 실행되면 변수 식별자가 렉시컬 환경에 키로 등록되고 변수 할당이 일어나면 렉시컬 환경의 키에 해당하는 값을 변경한다.
JS엔진은 변수를 참조할 때마다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해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 렉시컬 환경
전역 렉시컬 환경은 코드가 로드되면 곧바로 생성된다.
함수의 렉시컬 환경은 함수가 호출되면 곧바로 생성된다.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될 때 렉시컬 환경도 생성된다.
각 렉시컬 환경은 상위 렉시컬 환경을 참조값을 갖는다.
스코프 체인에 의한 식별자 검색
JS엔진은 식별자를 참조하는 코드를 만나면 해당 지역 스코프에서 해당 식별자가 선언되었는지 검색을 한다.
식별자 선언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면서 검색을 한다.
특정 스코프에서 식별자 선언이 존재하면 해당 스코프에서의 식별자를 참조하고 검색을 종료한다.
함수 레벨 스코프
var 키워드 식별자는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된다.
이는 var 키워드 식별자의 선언 위치가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 단위로 스코프를 갖는다는 의미다.
{
var x = 'local';
}
console.log(x); // 함수 레벨 스코프를 갖기 때문에 참조가 된다.
---------------------------------------------------------------------------
function foo(){
var x = 'local';
}
console.log(x); // x는 foo 함수 스코프를 갖기 때문에 참조 에러
var 키워드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갖기 때문에 블록 레벨 스코프를 인정하지 않아 i 변수는 전역 변수로 의도치 않은 재할당이 이루어진다.
var i = 10;
for (var i = 0; i<5; i++){
console.log(i);
}
console.log(i);
반면 ES6에서 도입된 let, const 키워드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지원한다.
렉시컬 스코프
함수 상위 스코프 결정 방식
동적 스코프 (dynamic scope)
함수가 호출된 시점에서 동적으로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방식
정적 스코프 (lexical scope)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정적으로 결정되는 방식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대부분 프로그래밍 언어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른다.
var x = 1;
function foo(){
var x = 10;
bar();
}
function bar(){
console.log(x);
}
foo(); // 1
bar(); // 1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함수가 호출된 위치는 상위 스코프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
함수 객체는 상위 스코프를 기억하고 있다.
'FE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0) | 2022.10.09 |
---|---|
[Javascript] 전역 변수 문제점 (0) | 2022.10.07 |
[Javascript] 함수 (0) | 2022.10.07 |
[Javascript] 원시 값과 객체 비교 (0) | 2022.10.04 |
[Javascript] 객체 리터럴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