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47)
-
[GIT] 깃 실행해보기
터미널 터미널 환경이란 텍스트로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GUI는 많이 사용하는 기능 위주로 동작을 구현했기 때문에 터미널보다 정밀한 작업은 하기 어렵다. 깃 명령어로 실행하기 깃 프로그램 이름은 git으로 터미널에서 git과 명령어를 입력하면 깃이 작동한다. git만 입력해도 실행이 되는데 git 명령어 사용법 및 간단히 요약된 내용을 볼 수 있다. ※ 환경 변수에 경로 설정하기 git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환경 변수에 PATH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윈도우 제어판을 실행한 후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속성 창 열기 > 고급 > 환경 변수 클릭 시스템 변수 항목에서 Path를 더블 클릭한다. 환경 변수 편집 창에 새로 만들기를 누르면 PAT..
2022.07.25 -
[GIT] 소스트리 설치
소스트리 소스트리는 아틀라시안에서 배포하는 GUI 깃 툴이다. 소스트리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깃을 컴퓨터에 설치해야 한다. 소스트리는 깃을 GUI로 사용하는 외부 도구일 뿐이다. 설치 파일 내려받기 소스트리는 공식 사이트 https://www.sourcetreeapp.com 에 접속한다. 설치 설치 파일을 실행한다. Bitbucket 메뉴를 선택한다. 아틀라시안 웹 사이트로 이동되어 계정을 요구한다. 구글 계정으로 연동하여 회원가입 할 수 있다. 로그인 할 때까지 등록을 기다리고 있는데 건너뛰기 누르면 된다.(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함) 소스트리는 깃 외에 머큐리얼 같은 버전 관리를 동시에 지원한다. 깃만을 사용하기 위해 머큐리얼 체크 해제를 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깃을 사용하려면 환경설정을 해야한다...
2022.07.24 -
[GIT] 깃 설치
깃을 사용하려면 깃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깃은 오픈 소스이기 대문에 깃 공식 사이트에서 OS별로 배포판을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다.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깃의 기본 작업 환경은 터미널 모드이다. 깃은 bash 환경을 제공한다. 깃 배시는 윈도우, 리눅스, macOS 사용자 모두 동일한 콘솔 명령어로 작업할 수 있다. 깃을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 다양한 깃 명령어 사용법에 익숙해져야 한다. ※ 터미널 모드 콘솔창에서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여 동작하는 모드 윈도우에서 설치 설치 파일 내려받기 깃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여 윈도우 설치 파일 다운 받는다. 설치 설치 파일을 실행한다. 설치 경로 디폴트 값은 C:\Program Files\Git이다. 기본 값으로 Nex..
2022.07.24 -
[GIT] 깃
깃의 모든 소스는 깃허브에 공개되어 있고 깃허브에서 git으로 검색하면 된다. https://github.com/git/git GitHub - git/git: Git Source Code Mirror - This is a publish-only repository but pull requests can be turned into patches to the Git Source Code Mirror - This is a publish-only repository but pull requests can be turned into patches to the mailing list via GitGitGadget (https://gitgitgadget.github.io/). Please follow Documen...
2022.07.23 -
[GIT] 버전 관리 시스템
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프로그램 이름 뒤에 숫자가 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버전을 의미하는데 버전이란 이전의 것과 다른 또는 약간 비슷한 것이다. 버전 관리의 필요성 프로그램 코드는 한 번에 모두 완성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코드는 한 단계씩 살을 붙여가면서 기능을 추가해 나간다. 개발 도중에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코드가 변경된다. 변경되는 동안 코드들은 잠시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이후 정상적인 테스트와 동작을 확인하고 나면 다시 안정된 상태의 코드가 된다. 개발이나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코드가 있다면 경우에 따라 작업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때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코드의 복귀 지점이 필요하다. 코드 복귀 지점은 반드시 안정된 코드 상태를 기준으로..
2022.07.23